유틸리티 (문경원)
퍼블릭 유틸리티 - 한국전력, 한국가스공사
공공성을 띠는 필수재를 공급하는 산업
(유틸리티 산업이 필요한 이유: 봉이 김선달)
안정성과 공평성이 중요한 산업 → 정부가 독과점적 위치 보장
대신 초과 수익 제한
P * Q - C = 이익 이 결정되는 산업이 아니라
허용된 적정 이익에 따라 판매가격(요금)이 결정되는 구조
(C + 이익) / Q = P
판매 가격(요금)이 어떻게 결정되느냐?
C: 총괄원가
이익: 적정투자보수 → 정부가 결정
적정원가 + 적정투자보수 = 총괄원가
총괄원가 / 판매량 = 요금
적정투자보수를 어떻게 결정?
적정투자보수 = 요금기저(굴리고 있는 자산) x 적정투자보수율(이익률, WACC)
WACC: 자본을 몇 퍼센트로 조달할 수 있느냐
COE: 금리, 베타
COD: 금리, 신용등급
유틸리티는 배당, 경기방어 때문에 투자함
ROE와 PBR의 상관관계로 벨류에이션 적용
한국은 총괄원가제로 기업에서 요금결정을 못함 → 정부에서 결정 (산업통상자원부, 기획재정부 협의)
발전소 요금(도매요금) 보장해주어야 함
전력구입단가(도매요금)는 CBP(Cost Based Pool) 시스템에 따라 결정
CBP: 발전단가가 낮은 거부터 가동, 기저발전(원자력 → 석탄 순으로) → 첨두발전 (LNG)
정산단가 = (SMP + CP) x 정산조정계수 (0~1)
SMP(System Marginal Price): 계통한계가격, 가동 발전기 중 가장 비싼 발전기
CP(Capacity Payment): 용량가격, 참가상 개념, 가동준비 발전기에게 모두 지급
신재생에너지: 신에너지 + 재생에너지 (국내에서만 사용하는 용어)
1. 신에너지: 기존의 화석연료를 소로 등으로 변환
2. 재생에너지: 태양, 물, 지열 바람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
고용창출, 유럽의 의지, 국제사회 요구, 에너지 안보
발전원가: LCOE (원/kWh)
원자력 <석탄 <가스 <육상풍력 <태양광 <연료전지
정부지원책
1.RPS(Renewable Portfolio Standard): 판매사업자가 일정 비율이상을 신재생에너지 구입 의무화 (물량 보장)
2.FIT(Feed in Tariffs): 신재생 에너지 전력가격이 기준가격보다 낮으면 차액 지급 (가격 보장)
신재생에너지
P:SMP + REC(Renewable Energy Certificate)
Q:전력생산량
C: 유지보수비용 미미, 감가상각비
수요: RPS 비율
공급: 신재생에너지 발전량
탄소배출권 제도 (ETS: Emission Trading System)
탄소 배출 할당량보다 남는 회사(친환경사업자)의 탄소배출권을, 탄소배출 할당량이 넘는 회사(석탄발전사)가 사는 제도
풍력터빈: 베스타스, GE, 지멘스
풍력타워&하부구조물: 씨에스윈드, 동국 S&C, 스페코, 삼강엠앤티, 세진중공업, 세아제강
기타 부품: 태웅, 씨에스베어링
수소: 에너지원보다는 에너지 운반체의 성격
국내 수소 투자는 다운스트림(수소→에너지, 예: 연료전지) 위주로 구성
셀스택(Cell Stack, 수소 → 전기)이 가장 중요
연료전지 관련업체
MEA, 전해질막 등: 현대모비스, 코오롱머티리얼, 시노펙스, 비나텍, 켐트로스, 코오롱인더, 동진쎄미켐
연료전지 완성품: 두산퓨얼셀, 에스퓨얼셀, 미코, 블룸 SK퓨얼셀
'강의필기 > 삼프로T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삼프로TV 메리츠증권 업종기초교육] 통신미디어 (0) | 2023.03.20 |
---|---|
[삼프로TV 메리츠증권 업종기초교육] 화장품/섬유의복 (0) | 2023.03.19 |
[삼프로TV 메리츠증권 업종기초교육] 엔터/레저 (2) | 2023.03.17 |
[삼프로TV 메리츠증권 업종기초교육] 은행 (0) | 2023.03.10 |
[삼프로TV 메리츠증권 업종기초교육] 제약바이오 / 조선기계 (0) | 2023.03.06 |
댓글